디랩소식
따끈따끈한 디랩 새소식을 확인하세요!
디랩 전체행사, 캠퍼스별 소식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언론보도 전체2019-06-26 코딩수업 1교시 “길찾기 로봇 만들어볼까요”코딩교육 메카 ‘디랩’ 판교캠퍼스공식 없이 학생들 스스로 연구3D 프린터 등 활용해 직접 제작가상반려견·국회감시앱 만들어 4일 경기도 성남시 운중로에 위치한 디랩(D-Lab) 판교캠퍼스. 디랩은 판교 최대 규모의 코딩 학원이다. 약 330㎡(100평) 규모에 9개의 교실과, 1개의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ㆍ제작실)을 갖췄다. 판교 최대 코딩학원 디랩 판교캠퍼스 사무실에서 강사들이 수업 준비를 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이곳에서 로보틱스(Robotics) 수업을 듣고 있던 김정호(13) 군은 ‘코딩이 왜 좋냐’는 질문에 “코딩하는 사람은 생각한 건 모두 만들어 볼 수 있다”고 했다. 실제 교실 뒷 편에는 3D프린터와 레이저 커터, 갖가지 모양 등의 드론 등이 가득했다. 로보틱스는 로봇(HW)에 학생들이 직접 코딩한 소프트웨어(SW)를 넣어 이를 움직이도록 하는 수업이다. 학생 스스로 연구하는 수업인 만큼 이곳의 선생님들은 아이들에게 ‘연구원’이라 불렀다. 이날 수업을 맡은 김기석 강사 역시 아이들에게 “연구원님들, 오늘은 길 찾기 로봇을 만들 거다. 공식은 없다”라며 독려했다. 판교 최대 코딩학원 디랩 판교캠퍼스 의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강사와 학생들이 길찾기 로봇을 시연해 보고 있다. 오종택 기자 코딩 교육은 크게 ▶입시 코딩 ▶교육 코딩 ▶창의 코딩의 세 가지로 나뉜다. 올림피아드 입상이나 특기자 전형 등 대학 진학 등 입시를 주목적으로 하는 게 입시 코딩, 코딩을 통해 사고ㆍ논리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 건 교육 코딩이다. 창의 코딩은 코딩을 매개로 학생이 스스로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창조의 경험을 쌓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모토로라,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등에서 삐삐와 핸드폰, 스마트폰 등을 개발했던 엔지니어 출신인 송영광(45) 대표가 삼성전자 퇴사 후 2014년 세운 디랩은 이 중 ‘창의 코딩’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당시 초등학교 3학년이던 딸에게 코딩을 가르치던 일이 창업으로 이어졌다. 디랩이란 명칭 자체가 ‘아빠의 연구소(Daddy‘s Lab)’란 의미를 담고 있다. 알파고 이후 폭발성장한 코딩학원 디랩을 비롯한 코딩 학원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건 2016년 3월 구글의 알파고와 이세돌 9단 간 대국이 펼쳐지고 난 다음의 일이다. 현재 서울에만 100여 곳 이상의 코딩 학원이 성업 중인 것으로 업계는 본다. 디랩은 판교뿐 아니라 서울 대치동과 대구 수성구 등 모두 6곳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이중 판교 캠퍼스가 가장 크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총 300여 명이 이곳에 다닌다. 주 1~2회(회당 1시간 50분 수업)씩 수업을 하고, 수강료는 학기(3개월)당 66만원이다. 학생들이 몰리는 토요일에는 9개 교실과 메이커 스페이스 모두 가득 찬다. 학년과 실력 등에 따라 코딩 툴인 스크래치와 마이크로빗, 앱인벤터는 물론, ‘아두이노(전자제품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보드)’나 ‘유니티(게임 개발 등에 쓰이는 제작 엔진)’까지 배운다. 국회 감시앱에 여행 앱 직접 만드는 아이들 코딩 학원에 적응한 아이들은 본인이 원하는 세상을 어떻게 구현할지를 배워간다. 집에서 강아지를 못 키우게 하면, 코딩 툴인 스크래치로 손가락 인식 센서를 만들어 손을 움직이면 화면 속의 강아지를 쓰다듬고 씻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식이다. 뉴스를 통해 국회의원들의 몸싸움 장면을 본 장진우 군은 중학교 1학년 때이던 2016년 ‘국회, 우리가 지켜본다’라는 앱을 만들었다. 정동윤(15) 군은 중학교 2학년 때 여행 앱 ‘해피 트래블러스’를 만들어 지난해 삼성전자 주니어 소프트웨어(SW) 창작대회에서 대상을 탔다. 최근엔 앱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디랩 수강생 장진우 군이 만든 국회, 우리가 지켜본다 앱의 스토리 보드(맨 왼쪽)와 앱 구동 화면. [사진 디랩] 아이들을 코딩 학원에 보내는 부모의 직업군도 다양해졌다. 과거엔 아빠가 IT업계에 재직 중이거나, 해외 유학파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최근엔 교육에 진보적인 생각을 가진 엄마들이 앞장 서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사실 해외에선 일찌감치 코딩교육을 해오고 있다. 1992년 공교육 과정에서 코딩을 가르치기 시작한 에스토니아가 대표적이다. 중국(2001년), 이스라엘(2011년), 인도(2013년), 핀란드(2016년) 등도 코딩 교육에 앞장선 나라들이다. 미국은 주마다 다르지만, 마이크로소프트(MS)와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이 코딩 교육을 후원한다. SW 교육 시행학교 중 절반엔 전문 교사도 없어 한국도 지난해부터 중학교ㆍ고등학교 SW 교육을 의무화했지만, 아직은 갈 길이 멀다. 한 예로 국회 교육위원회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SW 교육 개설 중학교 및 교원 현황’에 따르면 2019년 중등 2학년 SW 교육 시행학교(2677곳) 중 1337곳(49.9%)에만 정보담당교사가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선 수박 겉핥기식 교육이 이뤄진다. 디랩의 송영광 대표는 “SW 교육의 목적은 ‘모두를 개발자로 만들자’가 아니라 ‘아이들의 아이디어가 결과물이 될 수 있는 과정을 알려주자’가 되어야 한다”며 “현재로썬 학교에서 10년이나 영어를 배웠는데 말 한마디 제대로 못 하는 과거의 한국 영어교육처럼 될까 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삼성전자 등 기업들이 코딩 교육을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국내 기업 중 최초로 청소년 SW 교육 프로그램인 ‘주니어 소프트웨어 아카데미’를 통해 매년 200여 개 학교의 방과후학교와 자유학기제를 통해 코딩 수업을 돕고 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중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여전히 ‘코딩 교육=입시 교육’으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SW 중심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ㆍ고려대ㆍ성균관대ㆍ서강대ㆍ중앙대 등 30개에 이른다. 이들 대학엔 ‘SW 특기자 전형’이 있고, 이 전형은 학생부종합전형을 토대로 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학원에서 입시 중심의 코딩 교육이 이뤄지는 주요 이유다. 초등학교 6학년 아이를 디랩에 보내고 있는 홍희숙(37) 씨는 "코딩을 배운 뒤로 아이가 성격이 적극적으로 바뀌어 만족한다"며 "하지만 코딩에 관심이 있다고 물어오는 다른 엄마들은 결국 대회와 스펙에만 관심이 있어 하는 걸 보면 여전히 코딩 교육은 입시용이나 스펙용으로만 여겨지는 것 같다"며 아쉬워했다. 판교=이수기ㆍ김정민 기자 retalia@joongang.co.kr[기사 전문 보기]https://news.joins.com/article/23492296#home
-
새소식 전체2019-03-29 전세계를 무대로 키우는 꿈, WGG (Wow Global Geeks)세계 최고의 Makers 축제의 장! 세계 최대규모의 Flagship Maker Faire Bay Area 2019에 참여합니다. 단순관람이 아닌, Maker Faire Creator로 활동하며 나만의 Dream 컨텐츠를 만들어봅니다. Future Maker로서 글로벌한 첫단추를 끼우는 가장 멋진 방법! 또한 세계적인 첨단기술 연구단지인 실리콘벨리와 세계최고 수준의 명문사립대학교인 스탠포드대학교를 체험하며 글로벌 인사이트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
행사 전체2019-03-29 디랩 인턴즈 진행 안내2019년 여름, 대한민국 최고의 코딩 교육기관 디랩에서 대규모 인턴 채용을 진행합니다. 성별 무관, 전공 무관, 대학교 2학년까지 수료했다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습니다. 코알못에게도! 코잘알에게도! 모두에게 열려 있는 기회!! 디랩이 직접 설계한 최고의 교육 과정을 거치면, 코알못도 1달 만에 자신의 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코잘알은 말할 것도 없죠~~ (C아두이노 프로젝트, 딥러닝 프로젝트 진행 가능)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코딩교육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실제적 기회! 커리어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산출물까지 만들어낼 수 있는 실용적 기회! 스타트업의 분위기를 경험해 볼 수 있는 실험적 기회! 자세한 내용은 4월 중순 오픈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행사 전체2019-03-29 6월학기 학부모 설명회 & 체험수업 안내IT아빠들이 선택한 코딩교육 디랩 코드아카데미에서 6월학기 개강을 앞두고 학부모 설명회와 체험수업을 진행합니다. 아래 설명회 / 체험수업 링크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를 확인 및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대치 캠퍼스 설명회 신청 / 체험수업 신청 판교 캠퍼스 설명회 신청 / 체험수업 신청 수성 캠퍼스 설명회 신청 / 체험수업 신청 동탄 캠퍼스 설명회 신청 / 체험수업 신청 목동 캠퍼스 설명회 신청 / 체험수업 신청
-
행사 전체2019-02-21 GGF 2018 (그레잇 긱스 페스티벌) 하이라이트 영상’소프트웨어로 그리는 우리의 미래! 소프트웨어로 세상을 바꿀 영 메이커들의 축제! 그레잇 긱스 페스티벌! (GGF 2018) 열정과 아이디어 가득한 영 메이커들의 작품 전시 및 체험 도전과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스피치 온 가족이 한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공연까지 2018.11.24(토) 개포 디지털 혁신 파크에서 온 가족이 즐길 수 있었던 GGF 2018 현장을 담았습니다. 주최 : 디랩코드아카데미 후원 : 아산나눔재단, 럭스로보 * GGF 후기 영상 보러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4ZsmczSk6Rg&t;=2s
-
행사 전체2018-11-01 소프트웨어로 그리는 우리의 미래 ‘GGF 2018 (그레잇 긱스 페스티벌)’소프트웨어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해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화려한 스펙보다 진정성과 가능성, 창의성이 평가받는 미래에 우리 자녀들이 있습니다. GGF(Great Geeks Festival)는 청소년들이 만든 소프트웨어와 제품을 선보이며 창업가 경험을 통해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든 축제의 장입니다. * GGF 2018 공식 홈페이지: http://greatgeeksfest.com/
14
0